분류 전체보기
프로젝트 구성
기본 프로젝트 구성 src/ api : api 설정에 관한 js assets : css, font, image 등 기타 파일들 components : view에서 사용하는 컴포넌트 파일들 mixins : mixin 관련 파일 routes : routing 관련 파일 store : store 관련 파일 views : 각 페이지에 해당하는 view 파일 App.vue : vue의 첫 시작 main.js : vue 기본 세팅 js .env.development : 개발용 환경설정 파일 .env.production : 배포용 환경설정 파일 babel.config.js : 트랜스파일 관련된 babel 설정 package.json : npm 관련 설정 vue.config.js : webpack 관련 설정
vue cli3란?
vue 개발을 편하게 하기위한 command line interface로 vue.js에서 공식으로 제공하는 cli이다. 우선 node.js 8.9 이상 버전이 필요하다. 설치 npm install -g @vue/cli 시작 vue create 하면 기본적인 프로젝트 설정이 나온다. 구성 babel.config.js : babel과 관련된 설정 파일 package.json : npm에 관련된 설정 파일 vue.config.js : webpack과 관련된 설정 파일
ES6
closure 이처럼 자신을 포함하고 있는 외부함수보다 내부함수가 더 오래 유지되는 경우, 외부 함수 밖에서 내부함수가 호출되더라도 외부함수의 지역 변수에 접근할 수 있는데 이러한 함수를 클로저(Closure)라고 부른다. scope chain 지역변수 찾고 전역변수 찾아감 var : js 전역으로 사용 let : block scope 그 안에서만 사용 const : 상수, 수정할 수 없음은 아님, 배열과 오브젝트 값 변경은 가능하다, 값 재할당만 안됨 const를 기본으로 사용한다. 변경될 수 있는 변수는 let을 사용한다. var는 사용하지 않는다. immutable array 뒤로가기 앞으로가기같은거에서 원래 데이터 기억하기 좋음 ======================= es6 string에 새로..
자바 기초1
get/set : 정보은닉 둘중 하나만 제공해서 필요한 것만 사용하게 하거나 멤버변수에서 값을 받을 때 원하는 형식을 받기 위해 사용 변수를 핸들링 하기 위해 사용 지역변수 : 사용하고 사라짐 맴버변수 : 인스턴스에서 사용되고 사라짐, int, char, double 초기화하지 않으면 맴버변수는 0,null로 초기화 됨 참조변수 : String, 객체 클래스변수 : 데이터 메모리에 올라가서 프로그램 종료시 사라짐 static : 로딩될때 데이터 메모리에 올라가서 프로그램 종료시 사라짐 공통적으로 사용하거나 고정된 값을 메모리놓고 쓸 때 사용 메모리 구조 : 데이터 메모리 - 스택 메모리 - 힙 메모리 데이터 메모리 : static 메모리, 프로그램 종료 시 사라짐 스택 메모리 : 함수 실행시 올라갔다가 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