개발/Javascript

데이터 타입

반응형

타입

구분 데이터 타입
원시 타입 숫자 타입
문자열 타입
불리언 타입
undefined 타입
null 타입
symbol 타입
객체 타입

 

숫자 타입

- 모든 수를 실수로 처리

- Infinity : 양의 무한대, -Infinity : 음의 무한대, NaN : Not a Number

 

문자열 타입

- UTF-16 사용

- '', "", ₩₩ 사용가능 (일반적으로 작은따옴표를 쓴다)

 

불리언 타입
- true(참), false(거짓) 표현

 

undefined 타입

- 개발자가 사용하는 것보다 초기값 할 때 사용하는 값

- 값이 undefined면 초기화 후 사용되지 않았음을 유추 가능

 

null 타입

- 변수에 값이 없다는 것을 명시

 

symbol 타입

- 변경 불가능한 원시 타입의 값

- 다른 값과 중복되지 않는 유일무이한 값

 

 

데이터 타입의 필요성

- 데이터 타입을 알아야 메모리에 저장하거나 불러올 때 필요한 바이트 만큼 가져오기 위해서, 값을 해석 하기위해서 필요

- ECMAScript는 숫자 타입(8byte) 이외에 데이터 타입의 크기를 규정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엔진에 따라 다를 수 있다

 

동적 타입 언어

- javascript는 정적 타입 언어와 달리 변수 선언시 타입 체크를 하지 않고 변수에 값이 할당 될 때 타입이 정해진다

- 변수의 타입이 언제든 변할 수 있는건 장점이자 단점이다. 다른곳에서 쓰면 오류 발생 가능하기 때문

 

타입 사용 방법

- 변수는 필요할 때만 선언한다

- 변수의 이름은 의도를 명확히 한다

- 전역 변수의 사용을 자제한다

반응형

'개발 > Javascrip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체크박스 전체 선택 코드  (0) 2023.06.18
html에서 style, script 위치  (0) 2022.01.18
변수  (0) 2021.08.28
javascript 란?  (0) 2021.08.28
ES6  (0) 2021.03.30